2023년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란

개방경제하의 거시 경제

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 – 매월 첫 번째 금요일 아침 8시 30분(미국 동부시간)이 되면 각국의 금융시장은 미국의 통계 발 표에 촉각을 곤두세운다. 그 시각에 전월의 미국 노동시장 통계가 발표되기 때문이다. 세계 각 국의 투자자들이 미국의 노동시장에 깊은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? 세계 각국 투자자들이 미국의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를 하고 있고 주식 채권 가격은 미국의 고용통계에 따라 등락을 할 수 있기 때문이며, 세계 경제는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미국의 노동시장 상황은 다른 나라 의 경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.

거시경제변수와 거시경제는 FP의 재무설계와 자산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저 요인”이다. 그러므로 거시경제의 체계(framework)를 파악하고 거시경제가 어떻게 운용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FP 업무의 출발점이 되는 중요한 토대이다.

본 교재는 제1장에서 개방경제하에서의 거시경제의 틀을 파악하고, 그 틀을 이용하여 거시경 제가 어떻게 운용되는지 살펴본다. 제2장에서는 제1장의 이해를 기초로, 현재의 경제동향을 분 석하고 미래의 경기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살펴본다.

개방경제하에서의 거시경제

1.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 분석의 시계

1-1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에서의 단기와 장기

거시경제 분석에 있어서 분석 대상 시계(time horizon)를 어떻게 상정하느냐에 따라 모형의 기본 전제가 달라지고 도출되는 결론도 달라진다. 거시경제에서 단기와 장기란 단순한 물리적 시간의 구분이 아니라 <표 I-1>과 같이 가격의 신축성, 생산요소의 가변성 등에 의해 구분된다.

1) 미국의 고용통계와 더불어 6주마다 소집되는 FOMC의 결과는 세계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.

거시경제에서의 단기와 장기

단기

  • 가격과 임금이 경직적이다.
  • 생산요소(자본, 노동)가 불완전 고용될 수 있다.
  • 가격과 임금의 경직성이 단기 경기변동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.

장기

  • 가격과 임금이 신축적이다.
  • 완전고용(자본, 노동)이 달성된다.
  • 기술의 변화가 없고, 자본·노동 등 생산요소 총량이 고정되어 있다.

최장기

  • 기술발전이 가능하고, 자본·노동 등 생산요소 총량이 가변적이다.
  • 경제성장이 주요 연구대상이다.
1-2 장·단기 거시경제 분석

단기 거시경제의 집중 분석 대상은 총수요의 변동이다. 단기에는 가격과 임금이 비교적 경직 적이며 적절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.

장기 거시경제 분석은 한 나라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총생산 능력보다는 잠재적 총생산 능력 을 증가시키는 요인을 주로 분석한다. 장기에는 절대가격과 상대가격이 비교적 탄력적이다.

장·단기 거시경제 분석

단기 거시경제 분석

주 분석 대상: 총수요 증가요인

총수요의 구성요소 집중 분석

  • 1 가계의 소비지출
  • 2 기업의 투자지출
  • 3 정부의 재정지출과 조세
  • 4 순수출

적절한 경제정책

  • 1 재정정책과 통화정책
  • 2 대외통상교역정책 및 투자정책

다음 원인에 의한 공급충격에 대한 대응

  • 1 석유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의 상승
  • 2 환율변동
  • 3 정부정책의 변화

장기 거시경제 분석

주 분석 대상 : 총공급 증가요인

민간부문

  • 1 물적·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
  • 2 기술 개발과 혁신
  • 3 건설적 노사관계 형성
  • 4 효과적인 기업경영

정부 등 공공부문

  • 1 경제의 효율성을 제고할 제도와 정책
  • 2 사유재산권의 보호
  • 3 공정하고 안정된 그리고 예측 가능한 기업환경
  • 4 합리적 조세제도
  • 5 시장경쟁의 유도
  • 6 생산물과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
  • 7 적절한 재정정책 및 통화정책

2.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 모형

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 모형은 생산물시장, 요소시장, 대부자금시장 그리고 외환시장으로 구 성된 4개의 시장과 각각의 시장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경제활동을 하는 가계부문, 기업부문, 정 부부문 해외부문 그리고 중앙은행으로 이루어진 5개의 경제주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.

2-1 거시경제의 시장
가. 생산물시장

생산물시장(real products market)에서 총수요(aggregate demand)와 총공급(aggregate supply)이 일 치하는 점에서 한 나라의 균형 실질GDP와 물가가 결정된다. 경제성장률, 물가상승률, 소득분 배 등이 이 시장에서 결정된다.

나. 요소시장

생산요소에는 천연자원(natural resources), 자본(capital), 노동(labor) 그리고 기업가(entrepreneur) 가 있다. 천연자원에 대해서는 지대(rent), 자본에 대해서는 이자(interest), 노동(labor)에 대해서는 임금(wage) 그리고 기업가에 대해서는 이윤(profit) 또는 손실(loss)의 형태로 요소소득이 분배된 다. 단기에는 노동만을 가변 생산요소로 가정하기 때문에 노동시장을 중심으로 요소시장을 살 펴본다. 노동시장에서 균형 실질임금과 고용량이 결정된다.

다. 대부자금시장

대부자금시장(real loanable funds market) 또는 신용시장(real credit market)에서 한 나라의 균형 이자율과 대부자금거래량이 결정된다. 중앙은행의 정책, 가계의 저축률, 기업의 투자, 정부의 재 정수지 등이 이자율의 수준, 변동방향 그리고 변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다.

라. 외환시장

외환시장(foreign exchange market)에서 균형 환율과 외환거래량이 결정된다. 한 나라의 환율제 도, 국제수지와 그 구성요소 등이 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다

2-2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의 경제주체

경제주체는 절대적 기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의 기능에 따라 구분된다. 의도된 수요 와 공급이 실제 수요와 공급과 일치한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경제주체든지 생산물시장에 재화와 용역을 공급하면 생산주체가 되고, 재화와 용역을 소비하면 소비주체가 된다.

가계부문
  • 1) 생산물시장에서 기업이 생산하거나 해외에서 수입한 재화와 용역의 수요
  • 2) 요소시장에서 천연자원, 자본, 노동, 기업가 등 생산요소의 공급”
  • 3) 대부자금시장에서 대부자금의 공급(저축)
  • 4) 정부부문에 조세의 납부
해외부문
  • 1) 생산물시장에 재화와 용역의 공급
  • 2) 요소시장에서 생산요소의 수요
  • 3) 대부자금시장에서 대부자금의 수요
  • 4) 생산물시장에서 자본재의 수요(투자)
정부부문
  • 1) 생산물시장에 공공재의 공급
  • 2) 재정지출을 통하여 생산물시장에서 재화와 용역의 수요
  • 3) 가계부문으로부터 조세의 징수
해외부문
  • 1) 생산물시장과 외환시장을 통해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.용역에 대한 수요(수출)
  • 2) 외환시장과 생산물시장을 통해 해외에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공급(수입)
  • 3) 외환시장과 대부자금시장을 통하여 대부자금의 공급과 수요
중앙은행
  • 대부자금시장과 외환시장을 통하여 통화량과 이자율의 조절
2-3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 모형의 가정

. 명시적으로 장기라는 언급이 없으면 단기를 가정한다. 그러므로 물가변동을 언급하지 않 는 한 물가는 변동이 없고, 모든 변수는 실질변수이다. 물가변동을 고려할 경우 명목변수 와 실질변수를 구별한다.

. 모형을 확대하면서 새로운 변수나 모형에 새로운 구성요소가 추가될 때에만 그 변수나 구 성요소를 모형에서 고려한다. 재고, 저축, 투자, 조세, 수입, 수출 등 거시경제 변수들과 정 부부문, 중앙은행, 해외부문 등 모형의 구성요소들은 모형에서 언급되지 않을 때에는 없다 고 가정한다.

. 단기에 실물과 화폐의 교환비율은 1:1이라고 가정하고 실물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동액의 화폐의 흐름이 있다.

. 거시경제변수와 변수의 관계를 설명할 때 설명되는 변수 이외의 다른 변수 등은 일정한것으로 가정한다. 즉, ceteris paribus를 가정한다.

.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환율은 가격표시방법으로 표시한다.